본문 바로가기
이슈와 경제정보 보따리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혜택과 지원, 가격

by 혜택의 바다 2022. 12. 7.
반응형

노인 복지 정책인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임플란트'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우리나라 노인 복지정책 중 하나인 의료지원사업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만 65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는 노인 건강보험 임플란트. 보험 임플란트 비용 지원 및 시술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노인 건강보험 임플란트
만65세 이상 혜택

 

  •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이란
  •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
  •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절차

 


 

1.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만 65세 이상인 분들은 임플란트를 하실 경우 정부 보조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해 주는 임플란트 사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내의 검색창에서 임플란트를 검색하면 치과 임플란트 급여안내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치과 노인임플란트 급여

 

 

2.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혜택을 받기 위한 조건

치과 보험 임플란트 지원은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가입자 또는 피부양자이어야 하고, 부분무치악 환자여야 합니다. 부분무치악이란 치아가 하나 이상은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완전무치악(남은 치아가 없는 상태) 환자는 보험 임플란트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윗니나 아랫니 한쪽에만 치아가 있다면 치아가 남아 있는 부위의 즉, 아래쪽에만 치아가 남아 있다면 아래쪽만 보험 임플란트가 가능하고, 윗니만 남아 있다면 위쪽만 보험 임플란트가 가능합니다.

 

노인임플란트 적응증
보험 임플란트 적응증

 

3. 노인 임플란트 혜택 범위

 

건강보험 임플란트 보장 범위는 1인당 평생 2개까지입니다. 건강보험 틀니처럼 기한이 지났다고 해서 다시 갱신되지 않습니다. 단, 치과의사의 의학적 판단 하에 불가피하게 시술을 중단하는 경우 평생 인정 개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임플란트 골유착 실패등으로 시술이 중단되어 더 이상 진행이 어려울 경우 치과에서 건강보험공단에 시술 중지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4. 노인 임플란트 진행절차

 

① 건강보험 임플란트는 3단계에 걸쳐 진행됩니다.

 

1단계 - 진단 및 치료계획 - 진료비 발생

2단계 - 고정체(fixture) 식립술
- 진료비 발생

3단계 - 보철 수복 - 진료비 발생

 * 2단계 고정체 식립술 수술 시에 부가적으로 시행되는 치조골이식술(인공뼈 이식술), 상악동 거상술 등 부가수술은     보험 임플란트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니므로 일반 비용이 발생합니다.

 

 

 

② 건강보험 임플란트에 발생되는 자기 부담금

 

건강보험 임플란트 비용은 어떻게 설정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내가 지불하는 비용을 본인부담금이라고 합니다.

 


보통의 일반인 즉, 건강보험가입자 -
요양급여비용 총액의 30%

차상위 대상자 - 등급에 따라 10%~20% 정도 다르게 책정됩니다.
▶ 의료급여 대상자 중 1종은 10%, 2종은 20%의 자기 부담 비용이 발생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일반 치과의원에서 보험 임플란트 진료를 받으실 경우, 1개의 보험 임플란트는

 

건강보험 가입자는 대략 40만 원 정도 자기 부담금이 발생

의료급여 1종인 분은 대략 14만 원 정도,

의료급여 2종인 분은 대략 25만 원 정도의 자기 부담급이 발생합니다.

절대 무료가 아닙니다.

 

 

 

5.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여부


비급여로 임플란트를 진행 중이시던 분이 진행 기간 중 만 65세가 되어, 해당 단계부터 보험 임플란트로 적용되는지 물어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건강보험 임플란트는 시술 시작일을 기준으로 적용 나이를 판단하기 때문에 중간에 건강보험 임플란트로 적용될 순 없고, 새로 시작하는 임플란트에 대해서만 급여 적용을 혜택 받으실 수 있습니다. 내가 건강보험 임플란트 대상자가 되는지 알아보시려면 가까운 치과나 평소에 다니시는 치과에 방문하셔서 물어보시면 치과에서 조회가 가능하니 안내받으실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댓글